Quick Sort Algorithm 퀵 정렬 알고리즘
Quick Sort Algorithm 퀵 정렬 알고리즘 퀵 정렬 알고리즘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기본적인 시간 복잡도는 O(NlogN) 이지만, 최악의 경우에는 O(N^2) 이 될 수도 있다. 특징 분할 정복 활용 시간 복잡도 : O(NlogN) 구현 순서 ...
무더운 사막을 묵묵히 한 발자국씩 나아가는 낙타처럼,
꾸준히 배우고, 성장하고, 보다 더 멋지고,
성숙한 개발자가 되기 위한 기록 저장소.
Quick Sort Algorithm 퀵 정렬 알고리즘 퀵 정렬 알고리즘은 분할 정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비교적 많이 사용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기본적인 시간 복잡도는 O(NlogN) 이지만, 최악의 경우에는 O(N^2) 이 될 수도 있다. 특징 분할 정복 활용 시간 복잡도 : O(NlogN) 구현 순서 ...
Strategy Pattern 전략 패턴 전략 패턴은 객체들의 각각 기능에 대해서 유사한 기능을 캡슐화하여 별도의 전략 클래스로 생성하고, 객체의 행위를 변경하는 경우, 객체의 기능을 직접 수정하지 않고, 전략 클래스의 기능을 변경해주기만 하면 된다는 목적이 있는 패턴이다. 더 쉽게 정리하면, 유사한 기능을 가진 객체...
코틀린 제네릭스 Generics? 제네릭 generic 이란 개념은, Java 개발하면서 많이 마주치게 된다. Kotlin 도 Java 와 비슷한 제네릭스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실체화한 타입 파라미터 와 선언 지점 변성 등의 새로운 개념이 추가되었다. 이런 개념은 제네릭 활용을 좀 더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
코틀린 타입 시스템 Type System? Java 와 Kotlin 의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변수 타입을 널이 될 수 있는 타입 과 널이 될 수 없는 타입 으로 나눌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컬렉션 Collection 을 다룰 때에도 읽기 전용 컬렉션 과 변경 가능 컬렉션 으로 나눠진다. 이 두 가지 특성은 Kotl...
Kotlin 의 람다 Lambda Part.1 람다 식 Part.1 멤버 참조 Part.1 함수형 스타일 Part.2 시퀀스 Sequence : 지연 컬렉션 연산 Part.2 자바 함수형 인터페이스 코틀린에서 사용 Part.2 수신 객체 지정 람다 사용 지연 계산(lazy) 컬렉션 연산 코틀린...